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5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2.4%가 '인터넷 온라인 상에서 맺어진
디지털인맥이 있다'고 답했다.
1인 당 디지털인맥 수는 평균 27명으로 집계됐다.
아날로그인맥은 평균 51명으로, 디지털인맥 수는 절반 수준이었다.
디지털인맥을 맺게 된 경로(복수응답)는 '개인 블로그·미니홈피·트위터를 통해서'가 74.7%로
가장 많았다.
'취미 등의 친목 동호회나 커뮤니티를 통해서'는 49.1%, '인맥사이트를 통해서' 16.0%,
'채팅사이트를 통해서'는 11.4% 이었다.
'디지털인맥 관리여부'는 64.8%가 '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관리방식(복수응답)으로는 67.0%가
'상대 홈피·트위터에 지속적인 방문과 방명록 작성'을 꼽았다.
'온·오프라인 모임 참석'은 33.0%, '내 홈피·트위터 관리' 30.2%, '이메일 교류' 28.6%,
'양질의 정보를 디지털 인맥들과 공유' 23.6%, '전화통화로 교류' 22.0%,
'온라인 커뮤니티에 매일 출석'은 9.9%였다.
또한 전체의 66.5%는 실제로 디지털인맥을 통해 도움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디지털인맥의 장점(복수응답)으로는 '직급·나이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어서'가 87.5%로 1위를 차지했다.
'금전·비용에 대한 부담감 없이 인적 네트워크를 넓힐 수 있어서' 52.7%,
'정보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50.5%, '시공간 제약 없이 매일 대화할 수 있어서'는
46.3% 였다.
반면, 디지털인맥의 단점(복수응답)은 69.0%가 '친분관계가 가볍고 깊지 않아서'를 꼽았다.
'익명성' 등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서'는 53.4%, '중독성이 있어 자꾸 빠져들어서' 29.9%,
'시공간 제약이 없어 업무시간에 방해되기 때문에'는 18.9% 이었다.
디지털 인맥에 대한 설문조사가 눈길을 끄네요.
저도 디지털 인맥의 단점인 '친분관계가 가벼운'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이 '함께하는 열정'을 통해서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있다고 저 혼자만의 자부를 하고 있는데..
저 혼자만의 생각인가요?*^^*
[김영항의 함께하는 열정]
'인간을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의 리더십 (0) | 2013.05.08 |
---|---|
모든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사람에 대한 100가지 사실. 수잔 웨인쉐크 (0) | 2013.02.20 |
인재는 밖으로 찾으러 다녀야 한다 (0) | 2011.08.25 |
[사람의 마음이 읽힌다] 이태혁. 경향미디어 (0) | 2011.06.25 |
정보가 늦으면 한걸음 더 걸으면 되지_75세 현역 배우 신구_문화일보인터뷰 (0) | 201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