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6시 서울 출판문화회관 강당에서는 제4회 시작(時作)문학상 시상식이 열렸다. 화성 노작홍사용문학관 명예관장 겸 선임연구원인 이덕규 시인이 수상자였다. 강당에 가득한 시인들은 이 시인의 수상을 축하하는 덕담을 나눴다.
한글글꼴 안상수체로 유명한 디자이너 안상수 교수는 꼭 해보고 싶은 디자인이 책디자인이었는데 이덕규 시인의 [밥그릇 경전]을 디자인 하면서 시를 알게 되고 좋아하게 됐다며 뒤주머니에서 지갑을 거내들고는 디자이너 특유의 감각으로 만든 엄지손가락 크기의 LED 화환을 만들어 왔노라며 시인에게 선물했다. 브로치 크기의 반짝이는 전자 화환을 받아 든 시인은 무척 즐거워 보였다.
문학평론가 유성호 교수는 심사보고에서 "이 시인은 자연 사물의 구체적 목록들을 다양하게 재현하면서 거기서 푸른 직립의 결기를 읽어내기도 하고, 생태 지향의 에로티시즘 미학을 일구기도 하고, '흙'으로 상징되는 근원으로의 회귀를 갈망하는 사유를 드러내기도 했다.
고요히 반짝이는 '밥그릇 경전'처럼 삶의 바닥을 궁구하는 사유의 깊이가 이전 시집 보다 확연한 진경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시인은 수상소감에서 글을 모르던 일곱 살 어느 가을 날을 떠 올리며 다시 돌아가고 싶다고 말했다. 글을 알기 전에 시를 느꼈던 그 시간이 바로 지금이라고 인사하고 문우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덕규 시인은 1961년 화성에서 나서 농사와 공사판을 떠돌다가 1996년 농사일 말고는 하던 일들을 하루아침에 정리하고 시를 쓰기 시작해서 1998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한다. 2003년 [다국적 구름공장 안을 엿보다]를 내고 2004년 현대시학작품상을 받았다.
2009년에 두 번째 시집 [밥그릇 경전]을 내고 이 시집으로 시작문학상을 받게 됐다.
동탄 개발이 한창 시작될 무렵 동탄 신도시는 무엇으로 살아야 할까를 고민하다가 신도시 개발 이익의 한 부분으로 화성에서 난 작가 노작 홍사용을 기리는 문학관을 짓자는 제안을 화성시와 토지주택공사 등에 하게 된다. 그의 바램이 이루어져 지난 봄 노작공원에 문학관이 생기고 명예관장으로 시를 가르치고 농사를 지으며 산다.
"누군가를 간절하게 사랑해서 그 이름을 부르기만 해도 뼈가 저릴만큼 사랑하게 된다면, 그를 생각만 해도 시가 된다는 어느 시인의 말처럼 시인은 누구나 자신만의 텃밭을 가지고 있다. 내게는 글을 모르던 유년시절의 기억이 그것이다. 글을 알기 전에 시를 알았다. 머리를 쓰는 것보다 몸을 굴리는 일에 익숙하지만 짧은 토막 문자질에 머물지 않기 위해 시를 쓴다"
평론가 강동우 교수의 평론처럼 농사짓는 이덕규 시인에게서 흙으로 상징되는 생명력을 느끼게 된다.
Posted by allinda
,